Teacher said 외부에 있는 문화적 도구가 나의 심리적 도구로 내면화된다.
그리고
우선, 13세 이하에 학생들은 rule(외부에 있는 문화적 도구)을 내면화할 수 있는 인지구조가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그러나 8-9세, 10-13세 학생들의 경우는 Cards가 있을때, 즉 힌트(비고츠키의 ZPD와도 연관되는...) 바로 rule을 이해하고, 언어로 표현 가능하다.
그리고 어른들은 외부에 있는 문화적 도구를 내면화하는 것이 즉각적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이런 간단한 rule의 경우는 가치 판단이 필요 없으니까 더욱 빨리 내면화가 가능해서, 카드가 없이도 rule에 맞는 발화가 가능한 것은 아닐까. .
2012년 9월 18일 화요일
Tolman 실험에 대한 나의 생각
첫번째, "쥐 실험"
1) 실험 설명
- 세 개의 집단이 있고, 한 집단은 강화 없이 S-R을 반복했고, 두 번째 집단은 처음부터 끝까지 강화물이 주어졌고, 마지막 집단은 중간부터 강화물이 투입됐다. 그 결과, 첫번째 세 집단모두 시간이 흐를 수록 S-R의 연합이 단단해졌지만, 그 세기는 집단3>집단2>집단1 이었다.
2) 행동주의 이론과 반하는 이유
- 행동주의자들은 자극과 반응을 연결해주는 요인(매개체)으로 "강화"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강화물이 없을 경우, S-R의 연합이 약해져 "소거"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집단3이 집단2보다 학습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아(에러의 수가 작음) 시간이 흐를수록 강화물의 영향이 크지 않음이 나타났다. 또한 그룹1은 강화물이 없어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두번째, "쥐 실험"
1) 실험 설명
- 강아지들을 A-B-C라는 경로를 통해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훈련시킨 뒤, A라는 경로를 막고, C에 그대로 음식을 뒀을 경우 강아지들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관찰한 실험. 강아지들은 음식이 놓여져있는 C(그래프의 5번)이 아닌, 그 옆 6번으로 가장 많이 갔음.
2) 행동주의 이론에 반하는 이유
- 사실, 이 실험을 박성익 교수님의 교수심리학세미나 수업에서는 "첫번째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서 배웠다. 즉, 첫 번째 배울 때 잘못된 것을 배운 경우 이를 바로잡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런 점이 왜 행동주의에 어긋날까........................ 고민해보자.
행동주의는 반복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완전한 학습 상태에 이를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실험은 반복을 해도 학습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안될놈은 안돼?) 뭐 이런식...
1) 실험 설명
- 세 개의 집단이 있고, 한 집단은 강화 없이 S-R을 반복했고, 두 번째 집단은 처음부터 끝까지 강화물이 주어졌고, 마지막 집단은 중간부터 강화물이 투입됐다. 그 결과, 첫번째 세 집단모두 시간이 흐를 수록 S-R의 연합이 단단해졌지만, 그 세기는 집단3>집단2>집단1 이었다.
2) 행동주의 이론과 반하는 이유
- 행동주의자들은 자극과 반응을 연결해주는 요인(매개체)으로 "강화"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강화물이 없을 경우, S-R의 연합이 약해져 "소거"상태에 이르게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집단3이 집단2보다 학습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아(에러의 수가 작음) 시간이 흐를수록 강화물의 영향이 크지 않음이 나타났다. 또한 그룹1은 강화물이 없어도 학습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두번째, "쥐 실험"
1) 실험 설명
- 강아지들을 A-B-C라는 경로를 통해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훈련시킨 뒤, A라는 경로를 막고, C에 그대로 음식을 뒀을 경우 강아지들은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를 관찰한 실험. 강아지들은 음식이 놓여져있는 C(그래프의 5번)이 아닌, 그 옆 6번으로 가장 많이 갔음.
2) 행동주의 이론에 반하는 이유
- 사실, 이 실험을 박성익 교수님의 교수심리학세미나 수업에서는 "첫번째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서 배웠다. 즉, 첫 번째 배울 때 잘못된 것을 배운 경우 이를 바로잡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런 점이 왜 행동주의에 어긋날까........................ 고민해보자.
행동주의는 반복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완전한 학습 상태에 이를 수 있음을 강조했다. 그러나, 이 실험은 반복을 해도 학습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은 아닐까 추측해본다. (안될놈은 안돼?) 뭐 이런식...
피드 구독하기:
글 (Atom)